지역사회라는 개념
지역사회의 개념은 보통 경계가 기준이 되는데, 대체적으로 모호하고 유동적인 특징이 있다. 우선 지역사회라고 정의할 수 있는 지역 범위를 어떻게 규정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교통과 정보통신 수단의 발달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21세기의 정보화 사회에서 전통적 의미의 지역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 지구촌의 형성으로 지역사회의 개념이 기존과는 다른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단순하게 지역성만을 강조하는 과거의 지역사회의 의미는 점차 상실하고 지리적 개념에서 확대되어, 보다 넓은 개념의 정보화 사회가 형성되고 있다.
기존의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지리적 근접성에 바탕을 둔 지역 주민의 연대와 관련하여도 변화가 생기고 있다. 현재는 같은 지역의 아파트와 같은 곳에서 거주하더라도 대면 접촉 없이 살아가는 도시의 생활에서 지리적 근접성만으로 지역 주민이 연대감을 가질 수 있느냐 하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따라서 지역사회라는 개념은 지리적 의미에 한정하여 보더라도 그 의미를 설정하기 어려운 모호한 개념이다.
지역사회의 또 다른 용어로서 공동체란 말은 동질적 정체성에 바탕을 둔 의미를 가지고 있어서 때때로 사람들의 마음을 파고들어 집단적 감정이나 행동을 유발하게 되기도 한다. 그리고 시대의 변천에 따라 의미가 변화하고, 사용하는 사람이나 집단의 의도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갖기도 한다.
이에 따라 현대사회에서 지역사회는 과거의 지리적 의미에서 확장되어 기능적 특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지역 주민들은 사회복지에 관련된 공통된 관심사나 이해관계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적인 결합의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공동체는 한국 사회에서도 사람들과의 따뜻한 마음이나 정서적 특성을 공유하는 특성이 담겨 있는 용어이다. 그러나 사회복지에서의 공동체 형성은 실제 수행하는 주체가 누구이며, 어떤 방법으로 행해지는지에 대해서는 주민들의 이해관계 및 정책적 부분에 따라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지역사회의 역량
지역사회역량의 개념은 다양한 사회를 구성하기 위한 기준 원칙이 된다. 지역사회역량은 좋은 지역사회의 한 조건이다. 즉,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사회역량이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도입되면서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 또는 임파워먼트가 실천의 주요 전략이 되고 있다.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는 지역사회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그들의 문제에 대하여 어려움을 겪게 되는 상황이 전제가 되며, 지역사회복지실천이 이러한 과정에 참여하여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모든 과정에 실천의 핵심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는 지역사회 역량 강화에는 조직화를 들 수 있는데, 조직화는 사람들이 겪게 되는 다양한 지역사회의 문제에 대해 공유하고 주민들에게 도움을 주는 모든 과정이며, 사회 연계망을 만들어 집합적인 행동과 사회 변화를 위한 강한 공동체 의식을 만들어 준다.
지역사회의 역량에 따른 좋은 지역사회의 의미
보통 지역사회에 대한 이미지는 사람들 개인의 주관적 평가나 객관적인 판단 등에 의한 기준에 의해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지역사회의 주민이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 대한 이미지를 평가할 때, 다음과 같은 요인은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에 기여한다. 즉, 주민이 지역사회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치안과 안전이 보장되며, 생활하는 데에 쾌적한 환경이거나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며, 심각한 사회문제가 없다면 대체적으로 좋은 지역사회라고 본다.
전문가들은 지역사회에서의 목표에 대한 방식에 따라 지역사회를 평가하게 되며, 사회복지실천 전문가들은 지역사회의 역량이 지역사회의 주민들에게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행되었는지를 보고 평가하게 된다. 지역사회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할 부분이 있는지, 개인이나 가족 또는 사회에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지 등에 관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지역사회의 역량이 중요한 것이다. 결국 좋은 지역사회는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지역사회인 것이고, 이것은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실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된다.
'쌓아가는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 조직의 종류와 하는 일 (2) | 2025.04.07 |
---|---|
지역사회복지 네트워크의 의미와 역할 (0) | 2025.04.06 |
지역사회 자활의 의미 (4) | 2025.04.04 |
지역사회의 공공복지실천 (1) | 2025.04.03 |
사회복지 실천 기관으로서의 사회복지관의 역할 (4)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