쌓아가는 사회복지

노인복지시설의 기능과 의의

blisseon10 2025. 4. 8. 12:06

사회복지시설의 기능

사회복지시설은 고아, 노약자, 장애인, 부랑인 등과 같이 의지할 곳이 없는 사람들을 도와주고 보호하기 위한 공간으로 처음 시작되었다. 부양할 가족이 없거나 가족부양 기능이 약화되어 있는 경우 가족을 대신하여 보호, 부양하는 가족을 대체하기 위한 기능이 있다. 가족의 기능이 약화되는 이유는 천재지변, 전쟁 등과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낙오하는 개인과 가정이 그 원인인 경우가 많다. 개인적인 실수나 무능에 기인하는 경우도 있고 사회적으로 약자의 위치에 처하기 때문인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는 불행을 당한 개인이나 가정이 자력으로 극복할 수 있는 한계를 벗어나는 경우가 많고, 이때는 국가가 개입하여 해결한다. 사회적 약자를 국가가 책임지고 보호하거나 지원하는 것은 최소한의 사회정의를 실현하는 것이며 복지사회를 구현하고자 하는 국민적 합의를 실천하는 것이다. 이들에 대한 관심이 부족할 경우 사회문제를 일으키고 사회의 질서유지와 발전을 저해하며, 결국 사회해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만약 시설 수용자에 대하여 보호, 육성, 부양이 실패한다면 인간의 존엄성은 파괴될 것이고 이는 우리 사회의 도덕성 파괴는 물론 장차 복지수요자로 재등장하여 국력의 낭비를 가져올 것이다. 

사회복지시설은 사회적 약자를 그저 보호하는 것만이 아니라 이들이 생활하면서 부딪치는 여러 상황의 문제를 적절하게 개입하여 조정해 줌으로써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전문적 원조의 기능이 있다. 사회복지시설의 보호는 가정기능에 문제가 있거나 특수한 보호가 필요한 자를 보호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일상생활의 향상과 더불어 치료, 재활, 훈련 등을 위한 전문적 서비스를 실시해야 한다. 즉, 시설보호는 전문교육을 받은 사회복지 전문가에 의하여 서비스가 실시되어야 한다. 

가정에서는 가족 구성원 개인이 갖고 있는 문제는 곧 가족 전체의 문제가 되며 모두가 관심을 갖지만, 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개개인이 받을 수 있는 관심과 애정이 결핍될 수 있다. 또한 가정에서는 어느 정도의 프라이버시가 유지되며 개인이 원하는 행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지만, 시설에서는 단체생활을 하기 때문에 시설마다 일정한 규율을 지켜야만 한다. 개인의 성격차이에 의해 어떤 사람은 시설에 잘 적응하여 큰 무리 없이 생활하지만, 어떤 사람의 경우에는 잘 적응하지 못하여 갈등과 스트레를 경험하며 심지어는 가출을 시도하기까지 한다. 이들에 대한 신체적인 치료, 간호, 재활은 물론 교육, 상담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해 주어야 한다. 

 

우리나라 사회복지시설의 의의

사회복지시설은 노인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사회적 시설로 우리나라도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평균 수명이 증가하고 핵가족화와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로 등으로 가족에 의한 보호 기능이 점차 약화되고 있다. 특히 고령 노인인구의 증가로 거동불능 노인과 치매노인 등을 가정에서 보호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가족의 경제적, 심리적 부담은 심각한 갈등을 일으켜 이혼이나 가정해체 등의 사회문제로 우리 사회에서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이 경우 가족과 가정의 대체 기능으로서의 시설 이용은 필수적이다. 핵가족화, 도시화, 산업화를 겪고 있는 현대 가정에서의 노인에 대한 가족의 부양 기능과 역할은 약화될 수밖에 없으므로 노인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책임성이 더 강하게 요구되는 것이다. 요보호 노인에 대한 생존권 확보로서의 가정 대체적 기능과 장기 요양보호 노인에 대한 전문적 원조 기능은 사회복지시설의 큰 역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