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여가활동과 자원봉사활동
노년기에 여가를 어떻게 보낼 것인가에 대한 관심은 젊은 시절에 무슨 일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관심과 같다. 왜냐하면 인간 삶의 과정에서 시간의 가치는 젊은 시절이나 노년기가 똑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년기의 여가는 젊은 시절의 여가와는 차원의 다른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은퇴 후의 노년기가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점차 길어져 가는데, 이 기간을 어떤 시간으로 보낼 것인가는 매우 중요하다. 즉, 은퇴와 함께 자신의 자아를 재편성하여 노년기를 새로운 인생 행보의 시작으로 보고 자신에게 적절한 역할을 찾아서 살아간다면 노년기의 여가는 젊은 시절 일에 몰두하는 것 못지않게 창조적인 의미를 지닐 것이다.
노인에게 있어 여가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여가란 육체적 노동에서 벗어나 자신에게 부과된 의무감에서 자유로워져 휴식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에너지를 충전하는 여가와 즐거운 여가 중에 노인은 후자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하고, 또 그렇게 생활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노후생활은 어떠한 프로그램이든지 본인 스스로가 즐겁게 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창조적인 활동이 될 수 있으나, 심리적인 의무감으로 작용한다면 노동이 된다.
노인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
오늘날 노인복지는 단순한 구휼 구호사업이나 공공부조의 개념이 아니라, 노인이 하나의 독자적인 인간으로서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하고 문화생활을 하며, 가정이나 사회에서 존경받고, 사회적 역할과 활동에 참여하여 삶의 의미와 보람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노인인구가 증가됨에 따라 노인이 겪게 되는 빈곤, 질병 또는 고독과 소외감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원봉사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현 세대 노인은 일제 식민지 시대에 태어나 태평양전쟁과 한국 전쟁을 겪었으며 남북 대립의 긴장과 불안 속에서 살아온 세대다. 이들은 정치적 압박과 사회적 혼란 속에 살면서도 가정과 나라를 지키며 희생적으로 살아왔다. 그러나 자신의 노후준비는 제대로 하지 못한 세대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현재 노인은 가난과 질병, 소외 속에 살아가며 자원봉사자의 도움을 기다리는 경우가 많다.
지금까지 정부에서 실시해 온 노인복지정책은 가정에서 노인의 부양을 책임지게 하고, 일부 저소득층 노인들에게만이 거택 보호, 시설보호 등을 제공해왔을 뿐이다. 이와 같이 취약한 노인복지예산이나 인력으로는 날로 증가하는 노인의 서비스 욕구를 충당하기 어렵다. 따라서 정부의 부족한 시책을 보완하기 위해서 민간 차원의 자원봉사활동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노인 스스로 실천하는 봉사활동이 필요하다. 노인의 사회참여와 여가의 일종으로 노인자원봉사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나이 든 사람들이 살아 있는 동안 가정이나 사회에서 무엇인가 기여하고자 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요구 중의 하나이다. 노인의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조기 퇴직으로 인해 늘어난 노령기에 어떤 일을 하면서 보내게 되는지에 따라 노후의 삶의 의미와 보람이 달라질 수 있다. 노인은 다른 연령계층과 달리 정년이라는 퇴직제도 때문에 타의에 의해 직업인으로서의 역할을 상실하게 된다. 정년을 하고 새로운 직업이나 역할을 찾지 못하게 되면 상실감이 커지고 고독과 소외로 지내게 되는 경우가 많아진다. 이러한 경우 그 대체 역할로 지역사회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노인이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 사회를 발전하는 데 공헌하는 생산적인 활동을 지속한다면, 노후에 갖게 되는 열등감이나 소외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자신감과 유용감을 가지고 지역에 함께 사는 주민들과 유의미한 생활을 보내게 될 것이다.
노인자원봉사는 노인이 자원봉사의 수혜자로서, 또 공급자로서 참여하고 활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노인자원봉사는 노인문제 해결과 노인 복지 증진 차원에서 매우 중요함을 인정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부와 민간 차원의 긴밀한 협조와 노력이 필요하다.
'쌓아가는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보장의 특성 (0) | 2025.04.14 |
---|---|
한국 노인자원봉사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0) | 2025.04.13 |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 2025.04.11 |
노인 주택보장 정책의 의의와 필요성 (4) | 2025.04.10 |
노인복지서비스의 연계 통합 (2)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