쌓아가는 사회복지

한국 노인자원봉사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blisseon10 2025. 4. 13. 10:03

한국 노인자원봉사의 문제점

노인자원봉사는 노인 스스로의 유의미한 활동이나 사회통합, 그리고 지역사회를 위하여 필요한 활동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자원봉사에 관한 관심은 날로 증대되고 있으나 실제 노인의 사회봉사 참여율을 아주 저조한 편이다.

노인 또한 자신이 살아온 인생의 경험과 지혜를 살려 다른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돕고 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욕구는 있다. 다만 노인이 하고자 하는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방법을 모르거나, 이러한 자원봉사활동이 조직화되어 있지 않거나, 노인이 무력감을 가지고 자신의 능력을 평가 절하하는 것이 노인 봉사활동에 방해 요소가 되어 왔다.

자원봉사활동은 대개 들이는 시간과 노력이 대가가 없는 경우가 많아 어느 정도 경제적인 여유와 건강을 유지하고 있지 않으면 참여하기 쉽지 않다. 노인의 대다수는 경제적 자립 능력이 없어 자녀들에게 의지하면서 살거나,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노인을 위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이 미흡한 상태로, 노인이 자신의 경험과 능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잠재적 노인자원봉사자를 자원봉사자를 발굴, 전환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 

노인이 자원봉사에 참여하게 되는 경로를 보면, 노인교실이나 노인학교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거나, 봉사활동에 참가 중인 친지나 친구의 권유를 받아 자원봉사를 하게 되었다. 이는 노인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홍보가 아직 비공식적인 통로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 준다. 앞으로 노인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라디오, 신문, 텔레비전 같은 대중매체에 의한 더 적극적인 홍보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노인의 잠재 능력과 축적된 경험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지만, 노인인력 활용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족하다. 그러므로 다양한 방면으로 노인의 소중한 경험과 방대한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자원봉사는 노후활동에 나타나는 고독감과 소외감을 없애고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도 느끼고, 지지해 줄 만한 친구도 사귀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노인의 자원봉사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노인이 참여하고 싶어 하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또한 노인을 자원봉사 프로그램과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자원봉사조직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지역 자원봉사센터가 있기는 하지만 노인을 전문적으로 조정하고 관리하고 체계가 미흡한 상태다. 따라서 노인자원봉사의 필요성을 홍보하고 참여 유도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노인자원봉사조직이 필요하다. 

또한 선진 외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사회적 경력 인정, 상해 보험 제도 등의 제도적 장치가 개발되지 못한 부분이 있다. 

 

노인을 위한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

65세 이상의 은퇴 노인세대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 프로그램 관리 조정자는 지역사회를 위하여 경험이 풍부하고 시간적으로 여유를 갖고 있는 노인자원은 개발하여야 한다. 관리 조정자는 은퇴 노인세대의 증가와 함께 노인의 사고가 과거 몇 년 사이 엄청나게 변화되었음을 먼저 인식해야 한다. 이들은 과거보다 활동적이고 건강 의식과 참여의식을 갖고 있다. 노인은 더 이상 과거의 무기력한 존재가 아닌 것이다.

만일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과 대상자를 위하여 그들의 살아온 지혜, 경험 등을 활용할 기회를 그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면 많은 자원봉사자를 얻게 될 것이다. 아울러 자원봉사활동은 많은 시간 홀로 생활하는 그들에게 건강을 유지하고 기민한 마음을 갖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사회화 및 타인과의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다른 사람을 위해 봉사하고 그들의 생활을 즐기면서 사는 삶이 자신이 이제까지 살아온 인생의 경험을 제공하여 사회적 위치를 다시 한번 느끼게 되고 유의미한 삶의 의미를 가져다주게 된다.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바탕이 되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변화하는 사회를 직접 체험함으로써 포용력을 키우고, 젊은 세대를 좀 더 잘 이해하게 됨으로써 세대 간의 갈등을 줄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