쌓아가는 사회복지

지역사회의 자원동원

blisseon10 2025. 4. 15. 10:13

지역사회 자원동원의 의미

지역사회복지서비스 공급체계는 공공, 민간 비영리, 민간 영리, 비공식 부문을 내포하는 여러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 중 민간 비영리 부문은 지역사회복지서비스 공급체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저소득계층과 일반 국민의 사회복지에서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등 공공조직은 사회복지사업법 등 각종 법령에 기반을 두고 민간 비영리 부문에 대하여 재정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며, 민간 비영리 부문에 대한 운영과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민간 비영리 부문은 복지 서비스 공급을 촉진시키고 조직이 건전한 재정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지역사회에서 자원동원은 필수적이다. 지역사회에서의 자원동원은 각각의 민간 비영리 기관에서 개인이나 기업, 사회를 대상으로 모금 활동을 진행하거나, 사회복지 공동모금을 통하여 모금 활동을 운영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여러 가지 방식을 통하여 지역사회 자원동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역사회의 자원동원은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스스로 공동체 의식을 느끼게 된다. 사회복지의 문제를 개인의 결핍이 아니라 사회구성원의 공동의 문제로 받아들이고, 사회문제에 대하여 정당한 사회적 개입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지역사회 주민의 사회복지에 대한 자발적 참여를 증대시키며, 이러한 자발적인 모금에 의한 기부 문화의 확산은 사람들에게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을 블러 일으켜 사회문제에 대한 지역주민의 자발성을 높이고 참여를 통한 사회봉사활동의 확대를 가져오게 된다. 

지역사회 내에서 가용할 수 있는 범위의 복지재원의 양을 확대하는 데 의미가 있다. 지역사회 내에서 모금활동은 사람들의 잠재되어 있는 기부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게 되며, 확보된 모금은 부족한 사회복지재원을 확충하는데 쓰일 수 있다. 지역사회 자원동원에 의한 재정적 확보는 민간 비영리조직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재정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을 막아 주고, 자율성 확대에 의미를 지닌다. 

 

자원동원 작용의 원리

비영리조직에 대한 기부행위는 잠재적 기부자의 동기, 기회, 능력에 따라 이루어진다. 따라서 충분한 기부 능력이 있는 잠재적인 기부자를 발굴해 내고, 개인이나 조직 안에서 어떠한 의미 있는 목적에 기부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며, 잠재적인 기부자에게 기부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면 기부 행위를 이끌어 낼 수 있다. 

기부자는 모금 과정에서 존중받고 조직의 의미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며, 자신의 가치나 동기가 일치하는 방향으로 보상을 받게 되었을 때 기부행위를 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반면에 부정적인 동기는 모금의 실패를 가져오게 된다. 성공적인 모금이 되기 위해서는 기부자를 동기화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적절한 배려가 있어야 하며, 이러한 동기를 직접적인 기부행위로 행할 수 있도록 보상 등의 모금 전략과 배분 프로그램을 적절히 반영하여 기부행위의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자원동원의 방법

개인은 가장 큰 숨어있는 기부자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잠재 기부자를 개발하기 위한 대중 모금이 민간 사회복지 자원동원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잠재적 기부자는 기부할 수 있는 어떠한 상황이 생기게 되었을 때 참여할 수 있는 개인을 말한다. 이들은 기부행위의 가장 낮은 단계에서 물품 판매의 소비자, 특별행사의 참여자 등으로 기부의 기회가 주어지면 자신이 선택한 방법으로 참여하게 된다. 

사회복지 기관이 모금을 위하여 기부자에게 접근하는 그다음의 단계로는 인터넷의 웹사이트, 전화, 전자우편, 직접 방문 등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사회복지 기관은 웹사이트를 통하여 방문자를 받아들이며, 기관에 관한 최신의 정보를 제공하여 기부 참여와 회원가입의 동기를 부여한다. 하지만 이러한 대중 모금전략은 어떠한 방법을 취하든지 간에 대체적으로 우호적인 반응을 보이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어려움에 극복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주요 기부자란 일정 금액 이상의 고액의 재산 등을 기부하는 사람으로, 이러한 주요 기부자에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기부자에 대한 최신의 기록과 광범위한 정보를 수집하여야 한다. 주요 기부자를 위한 기부 방법으로는 개별 요청과 함께 기념 기부, 명예 기부 등의 방법을 활용하기도 한다.